본문 바로가기
국내

울산시 인구수(울산광역시), 구별, 경제, 교통, 문화

by 최근 발생한 이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2025. 9. 4.
반응형

울산시 인구수, 경제, 교통

 

 

 

 

울산광역시, 산업수도에서 미래형 첨단도시로 도약하는 동남권 핵심 도시

울산은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대표적인 제조업 중심 도시입니다.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중화학 산업이 밀집되어 있으며, 1인당 GRDP가 전국 최고 수준인 경제력 강한 도시로 손꼽힙니다.
이제 울산은 전통 산업을 기반으로 수소·에너지·그린모빌리티 중심의 첨단 미래도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울산의 도시 개요부터 경제 구조, 인구 변화, 교통 인프라, 관광자원,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울산광역시

 

 

 

 


1. 울산의 개요

울산은 동남권 해안 중심부에 위치한 대한민국 7대 특·광역시 중 하나로,
산·바다·강이 조화를 이루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거대한 산업단지가 공존하는 도시입니다.

주요 특징

  • 행정구역: 5개 구·군, 66개 행정동
  • 면적: 약 1,060㎢ (전국 광역시 중 최대)
  • 인구(2025년 기준): 약 1,080,000명
  • 지형: 태화강, 울산만, 문수산, 신불산 등 내륙과 해양이 조화

지역별 특성

  • 남구: 시청·도심 중심, 상업·업무 밀집
  • 중구: 원도심, 행정·문화시설
  • 동구: 현대중공업 중심의 조선업 지역
  • 북구: 자동차·부품산업 중심
  • 울주군: 자연·관광·농업 지역, 수소 산업 육성 중

울산은 **자연과 산업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경제형 도시’**로서, 전략적인 입지와 산업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울산의 개요

 

 

 

 


2. 울산의 경제력

울산은 전국 최고 수준의 제조업 기반 경제 도시입니다.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굴지의 대기업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수출입 규모 또한 전국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지역총생산): 약 120조 원 (1인당 GRDP 전국 1위)
  • 대표 산업군: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수소에너지, 친환경 모빌리티
  • 경제특구: 수소산업특구, 에너지융합산단, 울산미포국가산단 등

대표 산업

  • 자동차 산업: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세계 최대 단일 생산공장
  • 조선 산업: 현대중공업 중심, LNG·해양플랜트 건조
  • 석유화학: SK이노베이션, S-OIL, 롯데케미칼 등
  • 수소 에너지: 수소 모빌리티·연료전지 중심도시로 전환 중

울산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

  •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SK이노베이션, S-OIL, 울산항만공사, 울산도시공사 등

울산의 경제력

 

 

 

 


3. 울산의 인구 구조와 사회 문제

울산은 한때 최고의 인구 증가율을 기록했던 도시였으나,
최근 산업구조 변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해 인구 정체와 고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108만 명
  • 평균 연령: 약 44세
  • 고령화율: 약 21%
  • 1인 가구 비중: 약 34%

울산의 주요 사회 문제

  1. 청년층 이탈
    • 대학·문화 인프라 부족으로 유출 지속
  2. 출산율 저하
    • 전국 평균 이하, 학령인구 감소 추세
  3. 산업 의존도
    • 조선·석유화학 등 일부 산업 의존 구조
  4. 원도심 공동화
    • 중구·남구 구도심의 정주환경 개선 필요
  5. 지역 불균형
    • 동구·북구 vs 울주군·도심 간 개발 격차 존재

 

울산시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1,092,989
2025 7 1,093,317
2025 6 1,093,665
2025 5 1,094,027
2025 4 1,094,460
2025 3 1,095,014
2025 2 1,095,778
2025 1 1,097,821
2024 12 1,098,049
2024 11 1,098,312
2024 10 1,098,540
2024 9 1,098,728

 

 

울산시 구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남구 304,233
2025 8 울주군 218,719
2025 8 북구 215,824
2025 8 중구 204,397
2025 8 동구 149,816

 

울산의 인구 구조와 사회 문제

 

 

 

 


4. 울산의 교통과 도시 인프라

울산은 해양과 내륙을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
물류, 도로, 항만, 철도 인프라가 고르게 발달해 있습니다.

철도·KTX

  • 울산역 (통도사): KTX·SRT 경부선 정차
  • 태화강역: 동해선 광역철도, 태화강변 중심역
  • 동해선 복선전철화, 부산~포항 연결 추진

도로망

  • 경부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울산고속도로 등
  • 시내버스·광역버스 체계 안정화 운영

항공·항만

  • 울산공항: 내륙선 제한 운영 (김포행 중심)
  • 울산항: 액체화물 중심의 국제 무역항

미래 교통 전략

  • 동남권 광역전철망 구축
  • 울산공항 → 가덕도 신공항 연계 논의
  • 도심 내 자율주행·친환경 교통체계 도입

울산의 교통과 도시 인프라

 

 

 

 


5. 울산의 문화와 관광

울산은 과거 산업도시라는 이미지를 넘어,
자연경관, 선사유적, 생태공원 등 독자적인 문화관광 자원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연·생태 관광지

  • 태화강 국가정원
  • 간절곶 해맞이공원
  • 신불산, 영남알프스
  • 대왕암공원, 주전몽돌해변

역사·유적지

  • 반구대 암각화 (선사시대 유적)
  • 울산큰애기 이야기길
  • 울주 대곡천 세계유산 등재 추진

문화축제

  • 울산쇠부리축제
  • 울산서머페스티벌
  • 고래축제 (장생포 고래문화특구)
  • 울산국제영화제(UIFF)

울산은 산업 중심에서 벗어나, **‘문화와 생태가 살아있는 도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울산의 문화와 관광

 

 

 

 


6. 울산의 미래와 도전 과제

울산은 탄소 기반 제조업 도시에서 수소 기반 미래 산업 도시로의 구조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요 도전 과제

  1. 산업 고도화
    • 조선·석유화학 → 수소·디지털·친환경 전환
  2. 청년 정착 도시화
    • 창업 공간, 주거 인프라, 문화환경 개선 필요
  3. 도시 균형 발전
    • 동부·서부 간 교통망·생활권 통합 필요
  4. 기후 대응
    • 탄소중립 도시 기반 구축 시급
  5. 도시 이미지 개선
    • ‘공업 도시’ 이미지 탈피 → ‘첨단 생태 도시’ 브랜딩 필요

미래 비전

  • 수소경제 선도 도시 (H2 City 울산)
  • 동북아 에너지 물류 허브
  • 사람 중심 생태 도시
  • 청년이 정착하는 미래형 첨단 산업도시

울산의 미래와 도전 과제

 

 

 

 


7. 울산시 마무리

울산은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1세대 경제수도입니다.
이제 울산은 전통 제조업을 기반으로 그린에너지·수소모빌리티·디지털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며
글로벌 에너지 허브 + 살기 좋은 도시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기계의 도시에서 사람의 도시로,
굴뚝 산업 도시에서 미래형 청정산업 도시로 변화하는 울산의 새로운 시대를 기대해도 좋습니다.

울산시 마무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