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라남도 인구수(전남), 시별, 경제, 교통, 문화

최근 발생한 이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2025. 9. 6. 16:16
반응형

전라남도 인구수, 경제, 교통

 

 

 

 

전라남도, 바다와 섬, 미래산업이 어우러진 남해안 글로벌 해양도시

전라남도는 대한민국 남서부 해안과 수많은 섬을 품고 있는 광역자치단체입니다.
청정 바다와 비옥한 농토를 기반으로 어업·농업의 중심지로 발전해 왔으며, 최근에는 해양관광,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 산업을 접목해 글로벌 해양도시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수·광양항을 비롯한 대규모 산업단지와 풍부한 관광자원은 전남을 대한민국의 해양·에너지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라남도의 도시 개요부터 경제 구조, 인구 변화, 교통 인프라, 문화자산,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전라남도

 

 

 

 


1. 전라남도의 개요

전라남도는 남해안과 서해안을 모두 품고 있으며, 22개 시·군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다 군 단위 행정지역입니다.
수많은 섬과 긴 해안선을 따라 해양 산업·관광·어업이 발달했고, 내륙에는 농업과 첨단 산업이 공존합니다.

기본 정보

  • 행정구역: 5개 시 + 17개 군 + 도청 소재지(무안·남악신도시)
  • 면적: 약 12,300㎢ (전국 광역단체 중 3위)
  • 인구(2025년 기준): 약 1,800,000명
  • 생활권: 남해안·서해안 복합 생활권, 광주·전북과 연계

지역별 특징

  • 동부권: 여수·순천·광양 – 석유화학·철강·항만·관광 중심
  • 서부권: 목포·신안·해남 – 어업·재생에너지·관광 중심
  • 내륙권: 나주·담양·화순 – 농업·혁신도시·에너지 산업

전라남도의 개요

 

 

 

 


2. 전라남도의 경제력

전라남도는 풍부한 해양 자원과 광양만권 산업단지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대표적 에너지·항만·관광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 약 90조 원 수준
  • 산업 비중: 석유화학, 철강, 에너지, 수산업, 관광 중심

주요 산업단지

  • 여수국가산업단지 (석유화학 중심)
  •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 (철강·물류 허브)
  • 나주 혁신도시 (한전 중심 에너지 신산업)
  • 목포·신안 해상풍력단지

대표 기업

  • 포스코 광양제철소
  • GS칼텍스, LG화학(여수)
  • 한국전력공사(나주)
  • 신재생에너지 기업 (신안·해남 풍력단지)

전라남도는 **“철강+석유화학+에너지+수산업+관광”**이 결합된 복합 산업 거점입니다.

전라남도의 경제력

 

 

 

 


3. 전라남도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전라남도는 농촌·어촌 지역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지만, 혁신도시와 광양만권 산업도시에는 청년층 유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180만 명
  • 평균 연령: 약 48세
  • 고령화율: 약 28% (전국 최고 수준 중 하나)
  • 1인 가구 비중: 약 30%
  • 청년 인구 비율: 나주·광양·여수 등 신산업 지역 중심 증가

주요 사회적 흐름

  • 광양만권·혁신도시로 인구 집중
  • 농어촌·도서 지역 고령화 가속
  • 귀농·귀어·귀촌 인구 증가 추세

 

전라남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1,780,646
2025 7 1,782,183
2025 6 1,783,484
2025 5 1,784,116
2025 4 1,785,003
2025 3 1,785,193
2025 2 1,785,487
2025 1 1,787,592
2024 12 1,788,819
2024 11 1,789,610
2024 10 1,790,421
2024 9 1,791,496

 

 

전라남도 시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순천시 275,144
2025 8 여수시 264,724
2025 8 목포시 205,241
2025 8 광양시 155,261
2025 8 나주시 117,195
2025 8 무안군 95,263
2025 8 해남군 62,401
2025 8 화순군 60,370
2025 8 고흥군 59,712
2025 8 영광군 53,142
2025 8 영암군 50,329
2025 8 완도군 44,908
2025 8 담양군 44,272
2025 8 장성군 42,839
2025 8 신안군 38,930
2025 8 보성군 36,720
2025 8 장흥군 34,212
2025 8 강진군 31,767
2025 8 함평군 29,596
2025 8 진도군 28,163
2025 8 곡성군 26,592
2025 8 구례군 23,865

전라남도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4. 전라남도의 교통과 인프라

전라남도는 남해안·서해안을 아우르는 교통망과 대규모 항만을 보유해 국제 물류의 거점으로 기능합니다.

광역 철도망

  • 호남고속철도 (나주·목포 연결)
  • 전라선 KTX (여수·순천 연결)
  • 경전선·남해안 철도망 확장 중

고속도로망

  • 호남·남해·서해안·순천완주 고속도로 등
  • 남해안 고속도로와 서해안 고속도로를 통한 전국 연결망

항만·공항

  • 여수·광양항 – 대한민국 최대 규모 산업·물류 항만
  • 목포항 – 서해안 거점 항만
  • 무안국제공항 – 전남 관문공항
  • 흑산도 공항 건설 추진

도시 인프라

  • 나주 혁신도시 – 에너지 중심지
  • 순천 – 정원도시, 2023 세계정원박람회 개최지

전라남도의 교통과 인프라

 

 

 

 


5. 전라남도의 문화와 관광

전라남도는 청정 바다와 섬, 산과 강이 어우러진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한 지역입니다.
역사·생태·문화·해양 관광이 결합된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대표 관광지

  • 순천만 국가정원, 순천만 습지
  • 여수 해양공원, 오동도, 향일암
  • 신안 1004섬 자전거길, 퍼플섬
  • 담양 죽녹원, 소쇄원
  • 해남 땅끝마을, 보성 녹차밭

대표 문화시설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목포)
  • 순천문화예술회관
  • 여수세계박람회장 재개발 지역

축제

  • 여수밤바다 불꽃축제
  •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 보성녹차대축제
  • 목포해양문화축제, 강진 청자축제

전라남도의 문화와 관광

 

 

 

 


6. 전라남도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전라남도는 “청정 바다 + 신재생에너지 + 첨단산업”을 축으로 미래형 해양도시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방향

  • 신안 8.2GW 해상풍력단지 →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 광양만권 → 철강·석유화학 고도화 + 친환경 전환
  • 나주 → 한전 중심 에너지 신산업 허브 구축
  • 해양관광·섬 관광 글로벌화 (섬투어·크루즈 산업 육성)

균형 발전 전략

  • 도서·농어촌 정주 여건 개선
  • 귀농·귀어 정책 확대
  • 탄소중립형 농수산업 전환

전라남도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7. 전라남도 마무리

전라남도는 청정 바다와 섬, 글로벌 항만과 첨단산업이 공존하는 해양도시입니다.
전통적인 농수산업에서
해상풍력·에너지·철강·관광 산업을 아우르는 미래형 경제 도시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자연과 산업, 전통과 혁신이 함께하는 전라남도.
대한민국 남해안에서 세계로 뻗어나가는 글로벌 해양경제 중심지 전남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마무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