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구시 인구수(대구광역시), 구별, 경제, 교통, 문화

최근 발생한 이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2025. 9. 4. 00:10
반응형

대구시 인구수, 경제, 교통

 

 

 

 

대구광역시, 내륙 첨단산업과 전통문화가 공존하는 스마트 도시

대구는 대한민국 남동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로,
섬유·기계 기반의 전통 제조업 도시에서 이제는 첨단 의료·에너지·로봇 산업 중심의 미래도시로 탈바꿈 중입니다.
또한, 근대문화유산과 전통시장, 대규모 축제까지 품고 있는 정체성과 활력이 공존하는 도시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구의 전반적인 도시 개요부터 경제 기반, 인구 구조, 교통 인프라, 문화관광 자원,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대구광역시

 

 

 

 


1. 대구의 개요

대구는 경상북도와 인접한 내륙 중심 도시이며, 낙동강과 금호강이 만나는 분지 지형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예로부터 유통, 교육, 산업 중심지로 성장해 왔으며, 현재는 8개 구·군과 13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특징

  • 행정구역: 8개 구·군, 139개 행정동
  • 면적: 약 883.6㎢
  • 인구(2025년 기준): 약 2,350,000명
  • 지형: 분지 지형, 팔공산·앞산 등 산지와 평야 혼재

지역별 특성

  • 수성구: 고급 주거지, 교육 특화 지역
  • 중구/동성로: 근대문화유산, 상권 밀집 지역
  • 달서구: 대규모 주거지 및 산업단지
  • 동구: 동대구역 중심 교통 요충지
  • 달성군: 첨단산업단지, 신도시 개발 중심지

대구는 전통과 현대, 산업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균형 잡힌 중추 도시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대구의 개요

 

 

 

 


2. 대구의 경제력

대구는 전통 제조업 기반 도시에서 첨단 융합 산업 도시로 변모 중입니다.
기계, 자동차부품, 섬유산업은 물론, 최근에는 의료·에너지·로봇 산업에 집중 투자하며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지역총생산): 약 50조 원
  • 대표 산업군: 기계·부품, 의료기기, 로봇, 에너지, 패션섬유
  • 산업단지: 대구국가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이시아폴리스

대표 산업

  • 기계·자동차 부품: 달서구 성서공단, 자동차 부품 집적지
  • 의료산업: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메디시티 대구)
  • 패션·섬유산업: 봉제, 원단, 디자인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
  • 미래 산업: 물 산업, 그린에너지, 로봇기술 중심 클러스터

대구에 본사를 둔 주요 기업

  • 한국OSG, 평화발레오, 경동나비엔, 이래AMS, 대성에너지, DGB금융그룹 등

대구의 경제력

 

 

 

 


3. 대구의 인구 구조와 사회 문제

대구는 수도권 외 최대 내륙 도시로 자리 잡았지만, 최근에는 인구 정체와 고령화가 진행 중입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235만 명
  • 고령화율: 약 23% 이상
  • 평균 연령: 약 45세
  • 1인 가구 비중: 약 33%

대구의 주요 사회 문제

  1. 청년 인구 유출
    • 수도권으로의 이탈 → 지역 활력 저하
  2. 고령화 심화
    • 의료·복지 수요 확대, 노동 인구 감소
  3. 도심 공동화
    • 구도심 상권 위축, 대형 쇼핑몰 중심의 외곽 상권 강화
  4. 주거 노후화
    • 중구·남구 일대 노후 주택 밀집, 재정비 필요
  5. 산업 구조 변화
    • 섬유·부품산업 약화 → 고도화·전환 필요

 

대구시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2,356,667
2025 7 2,357,040
2025 6 2,357,052
2025 5 2,357,997
2025 4 2,359,159
2025 3 2,360,493
2025 2 2,362,578
2025 1 2,363,281
2024 12 2,363,629
2024 11 2,364,334
2024 10 2,364,892
2024 9 2,365,523

 

 

대구시 구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달서구 519,664
2025 8 북구 411,227
2025 8 수성구 409,509
2025 8 동구 340,337
2025 8 달성군 255,584
2025 8 서구 161,155
2025 8 남구 136,292
2025 8 중구 100,554
2025 8 군위군 22,345

 

대구의 인구 구조와 사회 문제

 

 

 

 


4. 대구의 교통과 도시 인프라

대구는 내륙철도망과 고속도로가 집중된 교통 요충지로, 전국 주요 도시와의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도시철도

  • 3개 노선(1~3호선) 운영
  • 전국 최초 무인운전 지하철(3호선) 보유
  • 총 연장 89km 이상, 환승체계 우수

도로망

  •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도로 등
  • 광역버스 및 시내버스 체계 정비

철도·공항

  • 동대구역: KTX·SRT·일반열차 모두 정차
  • 대구국제공항: 국내선 + 동남아 국제선 운항

미래 교통 전략

  • 통합신공항 이전(군위·의성, 2030년대 중반 예정)
  • 대구권 광역철도 구축
  • 스마트 교통 도시 추진

대구의 교통과 도시 인프라

 

 

 

 


5. 대구의 문화와 관광

대구는 근대문화유산과 전통시장, 축제가 공존하는 문화도시입니다.
특히 패션, 음악, 미식문화, 한방문화 등 고유한 콘텐츠가 돋보입니다.

전통과 역사

  • 달성토성, 경상감영공원, 계산성당
  • 조선 후기 행정 중심지 → 근대기 유통 거점

현대적 관광지

  • 서문시장, 동성로 쇼핑거리
  • 이월드, 앞산공원, 대구수목원
  • 근대골목투어, 수창청춘맨숀

주요 축제

  •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
  • 대구치맥페스티벌
  • 컬러풀대구페스티벌
  • 팔공산 단풍 축제

대구는 연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내륙형 문화관광 중심 도시입니다.

대구의 문화와 관광

 

 

 

 


6. 대구의 미래와 도전 과제

대구는 전통 제조 산업 중심에서 벗어나 첨단 산업·문화·복지 도시로의 전환을 추진 중입니다.

주요 도전 과제

  1. 산업 전환
    • 기계/섬유 → 의료, 에너지, 로봇산업 중심 구조로 개편
  2. 도심 재생
    • 중구, 남구 등 구도심 상권과 주거지 재정비
  3. 청년 유출 대응
    • 창업 생태계 구축, 청년 주거/문화 공간 확대
  4. 인구 고령화 대응
    • 노인 복지 인프라 확장, 의료 접근성 개선
  5. 교통 기반 확장
    • 통합신공항 성공적 이전, 동서남북 광역교통망 연결

미래 비전

  • 의료·바이오 중심 메디시티 대구
  • 에너지·로봇 융합 산업 도시
  • 근대문화와 첨단이 어우러진 관광도시
  • 청년이 돌아오는 창조형 도시

대구의 미래와 도전 과제

 

 

 

 


대구시 마무리

대구는 지금도 혁신적인 변화와 전통의 공존 속에서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산업·교육·문화 인프라를 기반으로 내륙 경제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대한민국의 중추 도시”**라는 위상을 재확립해가고 있습니다.

전통 제조업의 DNA 위에 첨단기술과 사람 중심 도시 전략을 더해,
누구나 살고 싶고, 다시 돌아오고 싶은 **‘대구다운 도시’**로 계속 진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대구시 마무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