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인구수, 경제, 교통, 문화, 관광
공주시, 백제의 역사와 금강의 생태가 어우러진 충청권의 역사·문화 도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부 내륙에 위치한 역사·문화·교육·관광 중심 도시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을 비롯한 백제의 고도(古都) 유산,
금강과 계룡산, 공산성 주변의 천혜의 자연경관은
공주시를 역사·생태·문화 관광의 거점이자 교육·행정 도시로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세종시와 대전·천안, 그리고 수도권과 호남을 잇는 사통팔달의 교통망은
공주시를 충청권의 역사·문화·관광 허브이자 교통 중심지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1. 공주시의 개요
공주시는 백제의 왕도였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등
찬란한 고대 문화를 품고 있는 역사·문화 도시이며,
금강 수변과 계룡산, 갑사·동학사 등 풍부한 자연생태와 사찰 문화가 어우러진 관광과 교육의 중심지입니다.
1개 읍·10개 면·6개 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 정보
- 행정구역: 1개 읍 + 10개 면 + 6개 동
- 면적: 약 864㎢
- 인구(2025년 기준): 약 100,000명
- 생활권: 세종·대전·천안·논산과 연계된 충청 중부 광역 생활권
지역별 특징
- 웅진동·중학동: 행정·교육·문화 중심
- 반포·계룡·사곡면: 금강·계룡산 생태 관광 중심
- 의당·탄천·신풍면: 전통 농업과 전원 주거 중심
2. 공주시의 경제력
공주시는 역사·문화·교육을 기반으로 한 관광 산업과,
금강을 중심으로 한 농업과 친환경 식품 가공, 중소 규모의 첨단 제조업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 약 4조 원 이상
- 산업 비중: 관광·교육·서비스, 농업·식품가공, 중소 제조업 중심
주요 산업 거점
- 금강권 생태·문화 관광지구
- 공주산업단지 및 첨단식품 가공단지
- 공주대학교·한국문화연수원 등 교육·연구 시설
대표 산업
- 역사·문화 관광: 공산성·송산리 고분군·계룡산 사찰
- 농업 및 가공식품: 밤·대추·과수·유기농
- 교육·연구: 공주대학교와 문화연수원 중심의 교육·연수 산업
공주시는 **“역사·문화 관광+교육·연구+친환경 농업”**이 결합된 중부 내륙의 문화·교육 도시입니다.
3. 공주시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공주시는 대학과 교육 인프라, 풍부한 관광·문화 자원 덕분에
충남 내륙의 안정적 중견 도시로서 인구와 생활 기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10만 명
- 평균 연령: 약 48세
- 고령화율: 약 25%
- 1인 가구 비중: 약 34%
- 청년 인구 비율: 충남 내륙 평균 수준(공주대 중심 청년 인구 포함)
주요 사회적 흐름
- 공주대학교 및 교육기관 중심의 청년·학생 인구 유입
- 세종시 및 대전과의 생활권 연계로 인한 정주 수요 증가
- 농촌·생태 환경을 찾는 귀촌·귀농 인구 확대
공주시 인구수
년도 | 월 | 인구수 | 전월비 (+, -) |
2025 | 8 | 100,488 | -117 |
2025 | 7 | 100,605 | -109 |
2025 | 6 | 100,714 | -79 |
2025 | 5 | 100,793 | -25 |
2025 | 4 | 100,818 | -70 |
2025 | 3 | 100,888 | 198 |
2025 | 2 | 100,690 | -378 |
2025 | 1 | 101,068 | -217 |
2024 | 12 | 101,285 | -156 |
2024 | 11 | 101,441 | -138 |
2024 | 10 | 101,579 | -116 |
2024 | 9 | 101,695 | - |
4. 공주시의 교통과 인프라
공주시는 충청권과 수도권·호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중심지로,
산업과 관광·정주를 위한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철도망
- KTX 호남고속철도(공주역)
- 경부선·호남선과 인근 연계
도로망
- 경부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당진영덕고속도로
- 천안~논산 고속도로(공주IC)
- 국도 1·23·32·36호선
도시 인프라
- 공주산업단지 및 식품가공단지
- 공주대학교·한국문화연수원
- 금강권 문화지구·공산성 관광벨트
5. 공주시의 문화와 관광
공주시는 백제의 찬란한 역사와 금강의 생태가 함께하는 세계적 문화·관광 도시입니다.
대표 관광지
- 공산성(유네스코 세계유산)
-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포함)
- 계룡산국립공원(갑사·동학사)
- 금강 수변 관광지 및 석장리 구석기 유적
대표 문화시설
- 국립공주박물관
- 공주문화원·공주문예회관
- 한국문화연수원
축제
- 백제문화제(세계적 역사·문화 축제)
- 공주밤마실축제
- 계룡산 산신제 및 금강철인3종대회
6. 공주시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공주시는 “역사·문화 관광+교육·연구+친환경 정주 도시”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과거와 미래가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방향
- 백제문화권 세계유산 → 글로벌 역사·문화 관광도시 강화
- 공주대학교·문화연수원 → 중부권 교육·연구 허브 확대
- 금강·계룡산 → 사계절 생태·레저 관광벨트 확충
- 스마트 농업 → 공주밤·대추·과수 등 특산물 브랜드화
균형 발전 전략
- 원도심 재생과 금강 수변 관광특구 개발의 조화
- 청년·가족 정주를 위한 주거·문화·교육 인프라 확충
- 친환경·스마트시티 기술을 통한 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
7. 공주시 마무리
공주시는 백제의 역사와 금강의 생태, 교육과 문화가 공존하는 충청권의 대표 도시입니다.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계룡산과 금강,
공주대학교와 한국문화연수원을 비롯한 교육·연구 인프라,
KTX 호남고속철도와 경부·호남 고속도로의 교통망은
공주시를 역사·문화·교육·관광이 어우러진 미래형 도시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천년 고도의 품격과 현대적 도시 인프라가 공존하는 중부 내륙의 역사·문화 수도 공주시.
대한민국이 자랑하는 세계유산과 생태·교육이 빛나는 공주시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