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경상북도 인구수(경북), 시별, 경제, 교통, 문화

by 최근 발생한 이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합니다 2025. 9. 6.
반응형

경상북도 인구수, 경제, 교통

 

 

 

 

경상북도, 전통과 첨단이 공존하는 대한민국의 산업·문화 중심지

경상북도는 대한민국 동남부 내륙과 동해안을 아우르는 광역자치단체입니다.
신라 천년의 수도였던 경주를 비롯해 깊은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고 있으며, 구미·포항·경산 등에서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철강·전자·IT 산업이 발달해 있습니다.

최근에는 포항·구미를 중심으로 이차전지·바이오·첨단소재 산업이 성장하고 있고, KTX와 대구권 광역철도 확충으로 교통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미래 성장 잠재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상북도의 도시 개요부터 경제 구조, 인구 변화, 교통 인프라, 문화자산,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경상북도

 

 

 

 


1. 경상북도의 개요

경상북도는 대구광역시를 둘러싸고 동해안에서 내륙 산간까지 다양한 지형을 가진 광역도입니다.
23개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농업·문화유산이 함께 발달한 복합형 지역입니다.

기본 정보

  • 행정구역: 10개 시 + 13개 군 + 도청 소재지(안동시·예천군 공동, 신도청)
  • 면적: 약 19,000㎢ (전국 광역단체 중 1위)
  • 인구(2025년 기준): 약 2,600,000명
  • 생활권: 동해안·내륙 복합 생활권, 대구·경북 광역경제권

지역별 특징

  • 동부권: 포항·경주·영덕 – 철강·에너지·관광 중심
  • 서부권: 안동·의성·문경 – 행정·농업·전통문화 중심
  • 남부권: 구미·경산·영천 – 전자·IT·첨단산업 중심
  • 북부권: 울진·봉화 – 산림·에너지·관광 자원

경상북도의 개요

 

 

 

 


2. 경상북도의 경제력

경상북도는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끈 핵심 지역입니다.
포항제철, 구미 전자단지 등은 여전히 국가 기간산업의 심장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터리·바이오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 약 120조 원 수준
  • 산업 비중: 철강, 전자·IT, 기계, 에너지, 이차전지 중심

주요 산업단지

  • 포항 철강·이차전지 산업단지
  • 구미 국가산업단지 (전자·IT 중심)
  • 경산 하이테크밸리
  • 영천 항공·자동차부품 산업단지

대표 기업

  • 포스코(포항)
  • LG에너지솔루션·포스코퓨처엠(포항)
  • 삼성전자·LG디스플레이 협력사(구미)
  • 현대모비스, 한화시스템 등

경상북도는 **“철강+전자+이차전지+항공”**이 결합된 대한민국 산업의 중추입니다.

경상북도의 경제력

 

 

 

 


3. 경상북도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경상북도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구미·포항·경산 등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젊은 인구 유입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동 신도청은 행정 중심 기능을 강화하며 새로운 균형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260만 명
  • 평균 연령: 약 46세
  • 고령화율: 약 24%
  • 1인 가구 비중: 약 31%
  • 청년 인구 비율: 구미·경산·포항 중심으로 유지

주요 사회적 흐름

  • 산업도시 중심 인구 집중
  • 농촌·산간 지역 고령화 가속
  • 귀농·귀촌 인구 유입 증가

 

경상북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2,514,198
2025 7 2,516,753
2025 6 2,519,474
2025 5 2,520,934
2025 4 2,522,609
2025 3 2,523,173
2025 2 2,524,067
2025 1 2,528,641
2024 12 2,531,384
2024 11 2,533,979
2024 10 2,535,971
2024 9 2,537,955

 

 

경상북도 시별 인구수
년도 인구수
2025 8 포항시 489,418
2025 8 구미시 404,140
2025 8 경산시 265,055
2025 8 경주시 244,247
2025 8 안동시 153,443
2025 8 김천시 134,537
2025 8 칠곡군 105,308
2025 8 영주시 97,706
2025 8 영천시 96,142
2025 8 상주시 90,520
2025 8 문경시 65,877
2025 8 예천군 54,038
2025 8 의성군 48,116
2025 8 울진군 45,919
2025 8 성주군 40,952
2025 8 청도군 40,246
2025 8 영덕군 32,878
2025 8 고령군 29,750
2025 8 봉화군 28,371
2025 8 청송군 23,510
2025 8 영양군 15,165
2025 8 울릉군 8,860

경상북도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4. 경상북도의 교통과 인프라

경상북도는 내륙과 동해안을 모두 연결하는 교통 요지입니다.
KTX·고속도로·항만·공항을 아우르는 입체적 교통망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광역 철도망

  • 경부고속철도 (구미·경주 경유)
  • 동해선·중부내륙선 고속화 추진
  • 대구권 광역철도(경산~구미 연계)

고속도로망

  • 경부·중부내륙·중앙·동해고속도로 등
  • 전국 주요 권역과 직접 연결되는 교통축

항만·공항

  • 포항항·영일만항 – 동해안 대표 항만
  • 울진 신한울 원전 연계 에너지 항만 개발 추진
  • 포항·대구공항 이용 가능, 영일국제공항(예정)

도시 인프라

  • 안동 신도청 – 행정 중심 도시
  • 구미·포항 – 산업과 연구개발 중심지

경상북도의 교통과 인프라

 

 

 

 


5. 경상북도의 문화와 관광

경상북도는 신라·가야·유교 문화가 살아 있는 대한민국 대표 문화유산 도시입니다.
불국사·석굴암·하회마을 등 세계적인 역사문화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표 관광지

  • 경주 불국사·석굴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포항 호미곶, 영일대해수욕장
  • 문경새재, 주왕산 국립공원

대표 문화시설

  •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안동대학교 박물관
  •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안동)
  • 포항문화예술회관

축제

  • 경주 세계문화엑스포
  • 안동 국제탈춤페스티벌
  • 포항 국제불빛축제
  • 영덕 대게축제

경상북도의 문화와 관광

 

 

 

 


6. 경상북도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경상북도는 “전통문화 + 첨단산업”을 축으로 미래형 균형 도시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방향

  • 포항·구미 중심 이차전지·바이오 신산업 확장
  • 영일만항·영일국제공항 중심 글로벌 물류 거점 조성
  • 안동·경주 중심 역사문화관광 글로벌화
  • 스마트 농업·에너지 전환형 농촌 모델 구축

균형 발전 전략

  • 동해안·내륙 간 균형 개발 추진
  • 농촌 고령화 대응과 정주 여건 개선
  • KTX·광역철도 연계로 권역별 연결성 강화

경상북도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7. 경상북도 마무리

경상북도는 대한민국 산업화와 문화유산의 중심지입니다.
철강과 전자에서 이차전지·바이오까지 이어지는 첨단산업 성장 축,
그리고 경주·안동을 중심으로 한 천년 문화유산은
경상북도를 전통과 미래가 만나는 독창적인 도시로 만들고 있습니다.

산업과 문화, 내륙과 동해안이 공존하는 경상북도.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로 도약하는 첨단산업·문화 중심지 경북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경상북도 마무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