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대한민국 남해안의 산업·해양·관광 중심도시
경상남도는 대한민국 남동부, 남해안 일대를 중심으로 한 광역자치단체입니다.
자동차·조선·기계 산업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제조업을 이끌어왔으며, 남해안의 아름다운 해양·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산업과 관광이 공존하는 도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창원·김해·사천을 중심으로 항공·로봇·스마트 제조업이 성장하고 있고, 남해안권 광역경제벨트, 가덕도 신공항 건설과 맞물려 글로벌 해양경제 도시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경상남도의 도시 개요부터 경제 구조, 인구 변화, 교통 인프라, 문화자산, 그리고 미래 전략까지 자세히 살펴봅니다.
1. 경상남도의 개요
경상남도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를 접하며 남해안과 내륙을 아우른 광역도입니다.
18개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업과 농업, 관광과 해양이 복합적으로 발달했습니다.
기본 정보
- 행정구역: 8개 시 + 10개 군 + 도청 소재지(창원시)
- 면적: 약 10,500㎢ (전국 광역단체 중 4위)
- 인구(2025년 기준): 약 3,200,000명
- 생활권: 남해안 중심 생활권, 부산·울산과 연계
지역별 특징
- 동부권: 창원·김해·양산 – 기계·항공·첨단산업 중심
- 서부권: 진주·사천·하동 – 항공·농업·관광 중심
- 남해안권: 거제·통영·남해 – 조선·해양·관광 중심
- 북부권: 밀양·함안·합천 – 농업·내륙 물류 거점
2. 경상남도의 경제력
경상남도는 자동차, 조선, 기계 산업의 메카로서 대한민국 제조업 발전을 이끌어왔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 제조, 항공우주, 로봇 산업으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경제 지표
- GRDP: 약 130조 원 수준
- 산업 비중: 자동차, 조선, 항공, 기계, 로봇, 관광 중심
주요 산업단지
- 창원 국가산업단지 (기계·로봇)
- 사천 항공국가산단
- 거제·통영 조선해양 클러스터
- 김해 골든루트 일반산단
대표 기업
- 현대위아, 두산에너빌리티(창원)
- KAI 한국항공우주산업(사천)
- 대우조선해양(거제), 삼성중공업(거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G전자, 현대자동차 협력사 등
경상남도는 **“조선+자동차+항공+로봇+관광”**이 결합된 대한민국 남해안 산업 중심지입니다.
3. 경상남도의 인구 구조와 사회 변화
경상남도는 인구 300만 명이 넘는 대규모 광역도로,
부산·울산과 인접해 젊은 인구의 유출입이 활발하고, 산업도시 중심으로 청년 인구가 밀집하고 있습니다.
인구 통계 (2025년 기준)
- 총인구: 약 320만 명
- 평균 연령: 약 44세
- 고령화율: 약 22%
- 1인 가구 비중: 약 32%
- 청년 인구 비율: 창원·김해·진주·사천 등 산업·대학도시 중심 증가
주요 사회적 흐름
- 창원·김해·진주 등 중심도시 인구 집중
- 조선·항공 산업 기반 도시의 고용 확대
- 농어촌 지역 고령화 심화
경상남도 인구수
년도 | 월 | 인구수 |
2025 | 8 | 3,212,001 |
2025 | 7 | 3,214,016 |
2025 | 6 | 3,216,105 |
2025 | 5 | 3,217,584 |
2025 | 4 | 3,218,731 |
2025 | 3 | 3,219,574 |
2025 | 2 | 3,221,132 |
2025 | 1 | 3,226,599 |
2024 | 12 | 3,228,380 |
2024 | 11 | 3,230,071 |
2024 | 10 | 3,231,132 |
2024 | 9 | 3,232,297 |
경상남도 시별 인구수
년도 | 월 | 시 | 인구수 |
2025 | 8 | 창원시 | 993,530 |
2025 | 8 | 김해시 | 532,736 |
2025 | 8 | 양산시 | 360,411 |
2025 | 8 | 진주시 | 336,999 |
2025 | 8 | 거제시 | 231,439 |
2025 | 8 | 통영시 | 117,240 |
2025 | 8 | 사천시 | 108,226 |
2025 | 8 | 밀양시 | 99,629 |
2025 | 8 | 거창군 | 59,197 |
2025 | 8 | 함안군 | 57,851 |
2025 | 8 | 창녕군 | 55,083 |
2025 | 8 | 고성군 | 47,298 |
2025 | 8 | 하동군 | 40,243 |
2025 | 8 | 합천군 | 39,473 |
2025 | 8 | 남해군 | 39,282 |
2025 | 8 | 함양군 | 35,617 |
2025 | 8 | 산청군 | 32,992 |
2025 | 8 | 의령군 | 24,755 |
4. 경상남도의 교통과 인프라
경상남도는 부산·울산·대구와 맞닿아 전국 교통망의 요지입니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 남해안 고속화 철도망 확충 등으로 글로벌 접근성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광역 철도망
- 경부고속철도(KTX 창원·진주 연결)
- 동해선, 남해선, 진주~광양선 철도망 확장
- 가덕도 신공항 철도 연계 계획
고속도로망
- 경부·남해·중부내륙·대구부산 고속도로 등
- 남해안권과 내륙 물류 연계 강화
항만·공항
- 거제·통영 조선해양 산업항
- 부산항·진해항과 연계한 물류 거점
- 사천공항(항공산업 중심), 가덕도 신공항(2029년 예정)
도시 인프라
- 창원: 기계·로봇 중심 스마트 산업도시
- 진주·사천: 항공우주산업 중심지
- 거제·통영: 조선·해양·관광 도시
5. 경상남도의 문화와 관광
경상남도는 남해안의 아름다운 바다, 섬, 산지가 어우러진 천혜의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전통문화와 현대적 해양관광이 결합된 대표 여행지로 손꼽힙니다.
대표 관광지
- 통영 동피랑 마을, 한려수도 국립공원
- 거제 바람의 언덕, 외도 보타니아
- 남해 독일마을, 금산 보리암
- 진주 진주성, 촉석루
- 합천 해인사(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대표 문화시설
- 진주 국립국악원
- 창원 성산아트홀
- 경상남도립미술관
축제
- 진주 남강유등축제
- 통영 국제음악제
- 거제 바다로 세계로 축제
- 밀양 아리랑대축제
6. 경상남도의 미래 전략과 도전 과제
경상남도는 “조선·자동차 산업 중심지”에서
스마트 제조·항공우주·로봇 산업 중심 미래도시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략 방향
- 사천 항공우주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완성
- 거제·통영 조선해양 산업의 친환경 전환
- 창원 국가산단 중심 스마트 제조·로봇산업 확대
- 가덕도 신공항·남해안철도 연계 글로벌 물류 허브 구축
- 남해안 관광벨트 글로벌화
균형 발전 전략
- 농촌 고령화 대응 스마트 농업 확산
- 남해·섬 관광 인프라 강화
- 산업도시-농어촌 간 균형발전 추진
7. 경상남도 마무리
경상남도는 대한민국 제조업과 해양산업의 핵심 거점입니다.
자동차·조선·항공우주·로봇 산업의 발전과 남해안 관광자원의 융합은
경상남도를 산업과 관광이 공존하는 글로벌 미래형 도시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전통과 혁신, 산업과 관광이 만나는 경상남도.
대한민국 남해안에서 세계로 뻗어가는 글로벌 산업·관광 중심지 경남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원시 인구수, 구별, 경제, 교통, 문화 (0) | 2025.09.06 |
---|---|
제주도 인구수, 시별, 경제, 교통, 문화 (0) | 2025.09.06 |
경상북도 인구수(경북), 시별, 경제, 교통, 문화 (0) | 2025.09.06 |
전라남도 인구수(전남), 시별, 경제, 교통, 문화 (0) | 2025.09.06 |
전라북도 인구수(전북), 시별, 경제, 교통, 문화 (0) | 2025.09.06 |